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38] 내(乃) / 내약(乃) / 녀(女)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19.
반응형

내(乃)

 

1. 윗 문장을 대신하여 어떤 상황을 나타낸다. "이처럼, 이와 같이"로 해석한다.

 『孟子 梁惠王上』: 夫我行之, 反而求之, 不得吾心, 夫子言之, 於我心有戚戚焉(내가 이처럼 행하여 놓고 돌이켜서 그 까닭을 찾았지만 내 마음에 납득되는 바가 없었는데, 선생께서 말해주시니 내 마음에 감동되는 것이 있었습니다).

 

2. ① 동작이나 행위가 앞의 동작이나 행위와 연이어 발생함을 나타낸다. "이에"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下』: 飢者弗食, 勞者弗息, 嵋胴胥謔, 民乃作慝(굶주린 자가 먹지 못하고, 고달픈 자가 쉬지 못하며, 눈을 흘겨보며 서로 비방하면 백성들이 이에 원망을 하게 됩니다). 

 

② 사람이나 사물 혹은 상황 등에 대한 강조나 긍정의 뜻을 나타낸다. "곧, 바로"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上』: 無傷也, 是乃仁術也(해 될 것 없으니, 이것이 곧 을 행하는 방법입니다).

 

3. 전환을 나타내며, “.......로 말하면, .......에 이르러서는"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公孫丑上』: 皆古聖人也, 吾未能有行焉. 乃所願則學孔子也(모두 옛날의 성인들로서 나는 아직 그들처럼 행할 수는 없지만 내가 바라는 것으로 말하면 공자를 배우는 것이다).

 

내약(乃) 단문을 연결시키며, 전환을 나타낸다. “......로 말하면, ......에 이르러서는"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離婁下』: 是故君子有終身之憂, 無一朝之患也. 乃若所憂則有之(이런 까닭에 군자는 종신토록 근심은 있어도 하루아침의 근심은 없으니, 근심하는 것으로 말하면 이런 것이다).

 

내(內)

 

1. "납(納)"과 같은 뜻으로 쓰일 경우는 "납"으로 읽어야 한다.

① "납()"과 같으며, "(교분을) 맺다'로 해석한다.

☞ 『孟子 公孫丑上』: 非所以內交於孺子之父母也, 非所以要譽於鄉黨朋友也(어린아이의 부모와 교분을 맺으려는 까닭도 아니고, 마을 사람들과 친구들에게 명예를 구하려는 까닭도 아니다).

 

② "납()"과 같으며, "넣다"로 해석한다. 

☞ 『孟子 萬章上』: 恩天下之民, 匹夫匹婦有不被堯舜之澤者, 若已推而之溝中(천하의 백성 중에 보잘것없는 사람이라도 요순의 은택을 입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면 마치 자신이 그들을 도랑 속으로 밀어 넣은 것처럼 여겼다).

 

③ "중히 여기다, 친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 『大學』: 外本內末(근본을 소홀히 하고 말단을 중시한다). 

 

2. "안"으로 해석한다.

☞ 『論語 里仁』: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也(어진 사람을 보면 그와 같아지기를 생각하고, 어질지 못한 사람을 보면 안으로 자성해야 한다).

☞ 『孟子 梁惠王下』: 臣聞郊關之內, 有圃方四十里, 殺其璧鹿者, 如殺人之罪(신이 듣기에 "교외의 관문 안쪽에 사방 40리의 동산이 있는데, 그곳의 사슴을 죽인 자를 살인죄와 마찬가지로 다스린다"라고 하였습니다).

 

녀(女)

 

1. 제2인칭으로서 "여(汝)"와 같으며, "너, 너희들, 그대"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爲政』: 由! 誨女知之乎(유야! 너에게 안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가르쳐 주겠다).

☞ 『論語 公冶長』: 女與回也孰愈(너와 안회 중에서 누가 나으냐)? 

 『孟子 梁惠王上』: 時日害喪? 予及女偕亡(이 태양은 언제나 없어질 것인가? 나는 너와 함께 망하리라)! 

 

2. "시집보내다"로 해석한다.

☞ 『孟子 離婁上』: 沸出而女於吳(눈물을 흘리면서 吳나라에 [딸을] 시집보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