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24] 구합(九合), 구급(口給), 구복(口腹)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12.
반응형

구합(九合) 춘추시대에 제후들이 패권을 다투기 위해 거행한 여러 차례의 회맹(會盟)을 가리키다.

 

주희는 "구(九)"를 "규(糾)"로 보아 "규합하다"로 해석하였다. 제(齊)나라 환공(桓公)은 제후들을 모두 11번 규합하였으므로 여기서의 "구(九)"는 숫자의 많음을 나타내는 허수(虛數)이다. 

☞ 『論語, 憲問』: 桓公九合諸侯, 不以兵車, 管仲之力也(환공이 제후들은 여러 번 모았지만 무력을 쓰지 않은 것은 관중의 힘이었다).

 

구급() 언변에 능한 것, 즉 말재주를 가리킨다.

 

"급"에는 "넉넉하다", "무궁하다"는 뜻이 있다.

☞ 『論語, 公治長』: 禦人以口給, 屢憎於人, 不知其仁, 焉用佞(능한 언변으로써 남의 말을 막아 자주 남에게 미움만 살뿐이니 그가 어진 지는 모르겠지만 말재주가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구복(口腹) "음식"을 가리킨다.

 『孟子, 告子上』: 之人無有失也, 則口腹豈適爲尺寸之膚哉(음식을 밝히는 사람에게 잘못함이 없다면 음식이 어찌 다만 한 자나 한 치의 살이 될 뿐이겠는가?

 

구릉(丘) "구릉"을 가리킨다. 

 

원래 "구(丘)"는 작은 흙산을 뜻하고, "능(陵)"은 큰 흙산을 뜻하는데, 후대에는 울퉁불퉁한 언덕을 "구릉(丘)"이라 통칭하였다. 

☞ 『論語, 子張』: 他人之賢者, 丘陵也, 猶可踰也; 仲尼, 日月也, 無得而踰焉(다른 사람의 현명함이란 구릉과 같아 그래도 뛰어넘을 수 있지만 중니는 해나 달과 같아 뛰어넘을 수 없습니다).

 『孟子, 滕文公下』: 得禽獸, 雖若丘陵, 弗爲也(새와 짐승을 얻음이 비록 산더미 같을지라도 하지 않았다).

 

구민(民) "일반 백성"을 가리킨다.

 

朱熹는 注에서 "구민은 田野의 백성이니, 몹시 미천하다"라고 하였다.

 『孟子, 盡心下』 : 是故得乎丘民而為天子, 得乎天子為諸侯, 得乎諸侯爲大夫(그러므로 일반 백성들의 마음을 얻으면 천자가 되고, 천자의 마음을 얻으면 제후가 되며, 제후의 마음을 얻으면 대부가 된다).

 

구(求)

 

1. ① "구하다", "추구하다"로 해석한다.

☞ 『論語, 學而』: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군자는 먹는 데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고, 기거함에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다).

 『孟子, 梁惠王上』: 以若所爲, 求若所欲, 猶緣木而求魚也(이와 같은 행위로써 이와 같은 욕망을 추구한다면 마치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② “부르다”. “불러들이다" 등으로 해석한다.

 『孟子, 公孫丑上』: 今國家閒暇, 及是時, 般樂怠敖, 是自求禍也(이제 국가가 한가하면 이때에 즐기고 게으르며 거만한 짓을 하는데, 이것은 스스로 화를 불러들이는 짓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