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15] 고(固/견디다/본래), 고(姑/잠시), 고(故/원인/그러므로)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10.
반응형

고(固)

 

1.  "고수하다", "견디다"로 해석한다. 

☞ 『論語, 衛靈公』: 君子固窮, 小人窮斯濫矣(군자는 곤궁함을 견디지만 소인은 곤궁하면 곧 함부로 행동한다).

 

2. ① 동작이나 행위, 상황 등이 본래 이와 같음을 나타내며, “본래", "원래"로 해석한다.

☞ 『論語, 子罕』: 固天縱之將聖, 叉多能也(본래 하늘이 그를 큰 성인으로 내셨기에 또한 재주도 많으십니다).

 

② 동작이나 행위, 상황 등에 대한 강조를 나타내며, "진실로", "확실히"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上』: 百姓皆以王爲愛也, 臣固知王之不忍也(백성들은 모두 왕께서 인색하다고 여기지만 저는 진실로 왕께서 차마 하지 못하심을 알고 있습니다). 

 

3. ① "견고하다", "튼튼하다".

☞ 『論語, 季氏』: 今夫顓臾固而近於費(지금 전유는 견고한 데다 비읍에 가까이 있습니다).

☞ 『孟子, 公孫丑下』: 固國不以山谿之險(나라를 견고히 하되 산과 계곡 물의 험준함으로써 하지 않는다).

 

② "완고하다". "고집을 부리다"로 해석한다.

☞ 『論語, 子罕』: 毋意, 毋必, 毋固, 毋我(억측하지 않으셨고, 기필코 하려고 하지 않으셨으며, 고집하지 않으셨고, 자아에 집착하지 않으셨다).

☞ 『孟子, 告子下』: 固哉! 高叟之爲詩也(고루하다! 고수의 시를 해설함이여).

 

③ "고루하다". "초라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述而』: 奢則不孫, 儉則固, 與其不孫也, 寧固(사치하면 공손하지 않고 검소하면 고루한데, 공손하지 않은 것보다 차라리 고루한 것이 낫다).

 

고(姑)

 

1.  "고(鹽)"와 통하며, “씹다"로 해석한다.

☞ 『論語, 滕文公上』: 狐狸食之, 蠅蚋姑之(여우와 살쾡이가 그것을 먹고, 파리와 등에가 그것을 파먹을 것이다).

 

2. 동작이나 행위가 몹시 짧은 시간에 진행됨을 나타내며, “잠시", "잠깐"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下』: 姑舍女所學而從我(잠시 네가 배운 바를 내버려 두고 나를 따르라).

 

고(故)

 

1. ① "옛 것"으로 해석한다.

☞ 『論語, 爲政』: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옛 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면 스승이 될 수 있다).

 

② "사고". "과실". "잘못"으로 해석한다.

☞ 『論語, 微子』: 故舊無大故, 則不棄也(옛 친구나 오랫동안 지내 온 사람에게 큰 잘못이 없으면 버리지 않는다).

☞ 『孟子, 告子上』: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부모가 함께 생존해 계시고, 형제에게 사고가 없는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다).

 

③ "원인", "연고", "까닭"으로 해석한다.

☞ 『論語, 八佾』: 殷禮, 吾能焉之, 宋不足徵也, 文獻不足故也(은나라의 예에 대해 내 능히 말할 수 있지만 송나라가 그것을 증험해 주지 못하니. 문헌이 부족한 까닭이다).

☞ 『孟子, 滕文公上』: 天之生物也, 使之一本, 而夷二本故也(하늘이 만물을 생성함에는 근본을 하나로 하게 하였지만 이자는 두 가지 근본을 생각했기 때문이다). 

 

④ "도리", "이치"로 해석한다.

☞ 『孟子, 離婁下』: 苟求其故, 千歲之日至, 可坐而致也(만약 그 이치를 강구하면 천년 뒤의 동짓날도 앉아서 추산할 수 있다). 

 

⑤ “안면", "친숙함"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盡心上』: 挾故而問, 皆所不答也(안면을 믿고서 묻을 경우는 모두 대답하지 않는다).

 

2. 단문을 연결시키며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따라서"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子罕』: 吾少也賤, 故多能鄙事(나는 젊었을 때 미천했기 때문에 비천한 일을 잘할 수 있다).

☞ 『孟子, 梁惠王上』: 古之人與民偕樂, 故能樂(옛사람들은 백성들과 더불어 함께 즐겼기 때문에 능히 즐길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