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문법/한문 문법 구조 분석

교언영색(巧言令色)

by ഗൗതമബുദ്ധൻ 2022. 6. 18.
반응형

 논어 학이편에 나오는 말이다. "말을 교묘하게 잘 꾸미고 얼굴빛을 잘 꾸며서 남에게 아첨하는 사람"을 말한다. 

 

교(巧)는 예쁘게 하는 것이고, 령(令)을 잘 꾸민다는 뜻이다. 주자는 "말 잘하고 얼굴 잘 꾸미는 사람은 겉으로 수식을 잘해서 남을 기쁘게 하는 데만 힘쓰고, 욕심이 많아져서 본심의 덕이 없어진다"고 했다. 

 

공자는 진심을 다하지 않으면서 말만 번지르르하게 하고 약삭빠른 사람을 매우 싫어했다. 비슷한 말이 공야장편과 양화편에도 나온다. 그만큼 공자가 싫어하는 사람의 유형으로 자주 언급했을 것이다. 

 

양화편에서 누군가가 염옹을 평가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

"염옹이 인하기는 한데 말주변이 없습니다"

"말주변을 어디에 쓰려고? 말주변으로 사람을 대하면 자주 다른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뿐이다."

 

반면, 공자는 말이 어눌하더라도 진실한 사람을 좋아했다. 이인편에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온다. 

"군자는 말하는 것은 어눌하게 더듬거리고, 행동은 민첩하려고 한다.(子曰: "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

 

말과 행동의 일치는 인간 관계를 유지하고, 더 넓게는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중요한 연결고리다. 말과 행동이 일치할 때, 우리는 그 사람을 믿을 수 있다. 현대에서 종교적인 영향으로 믿음(信)이 '내가 일방적으로 신에게 의지하는 마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본래 의미의 믿음은 내 말을 실천으로 증명할 수 있는 것이다.

 

애초에 공자는 믿을 수 없는 말을 하지 못하게 하려고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것을 요구하기까지 했다. 교언보다는 눌언을 높게 보는 공자의 가치관은 배신을 밥 먹듯이 하고 서로를 속이는 계략으로 하루 하루를 지내는 춘추시대라는 혼란기에 타락한 사회질서를 복구하려는 시도였는지도 모른다. 

 

최남선은 교언영색을 "말 납신납식 잘하고 남 비위 착착 잘 맞추는 사람치고 사람다운 사람 드뭅디다"라고 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