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문법/한문 문법 구조 분석

[한번은 한문 공부 2] 판단과 지칭(2) / 판단 부사 즉(卽), 내(乃), 즉(則), 필(必), 성(誠), 실(實), 역(亦)과 유(有)의 어순

by ഗൗതമബുദ്ധൻ 2022. 10. 1.
반응형

1. 판단 작용을 겸하는 부사: 卽, 乃, 則, 必, 誠, 實, 亦

卽이 부사로 쓰이면 '곧', '바로'라는 뜻을 지닌다. 보통은 형용사, 동사로 된 서술이나 문장을 수식하지만 간혹 명사 앞에서 판단 작용을 겸할 때가 있다. 이 경우 명사에 '~이다'를 붙여 해석한다.

天地卽衾枕 (하늘과 땅이 이불과 베개다.)

卽은 우리말 '~이다'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다. 한문에서는 명사라도 서술어 자리에 오면 서술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卽의 부사적 의미가 판단을 강조한다. 한문에는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부사가 많다.

是乃仁術也 (이것이 바로 인의 방법이다.)

此則岳陽樓之大觀也 (이것이 악양루의 큰 볼거리다.)

此誠危急存亡之秋也 (이것이 진실로 위급한 존망이 갈리는 때이다.)

 

2. 있을 유(有)의 어순

'有'는 동사로 쓰면 '있다'로 해석하는 단어다. 이때의 '있다'는 존재나 출현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인 '주어+동사'의 어순을 따르지 않는다. 주어가 '有'뒤로 도치되어 목적어처럼 쓰이고 주어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有' 앞에 단어가 오더라도 '於(~에, 에서)가 생략된 장소구로 해석할 때가 많다. 하지만 '有'가 '~을 가지다'의 뜻으로 쓰일 때는 일반적인 타동사의 어순과 같이 주어가 앞으로 온다. 

 

宋人有閔其苗之不長而揠之者 (맹자 공손추상)

송나라(宋) 사람(人) 중에 그(其) 싹이(苗之) 자라지 않음(不長)을 걱정하고(而) 그것을(之) 뽑아낸(揠) 사람(者)이 있다(有).

 

'有'의 부정은 '無'를 쓰고, '無'의 어순은 '有'와 같이 주어가 뒤에 온다.  (한 번은 한문 공부, 정춘수, 2018)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