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中庸) 제4장 지자과지장(知者過之章)] 도가 행해지지 않는 것을 알겠구나 / 도지불행야 아지지의(道之不行也 我知之矣)
4-1 子曰: “道之不行也, 我知之矣, (자왈 도지불행야 아지지의) 선생님이 말씀하시기를(子曰): “도가(道之) 행해지지 않는(不行也) , 내가(我) 그것을(之) 알겠구나(知矣), 知者過之, 愚者不及也; (지자과지 우자불급야) 지혜로운 사람은(知者) 그것을(之) 넘어서고(過), 어리석은 사람은(愚者) 미치지 못하니(不及也); 道之不明也, 我知之矣, (도지불명야 아지지의) 도가(道之) 밝아지지 않는(不明也) , 내가(我) 그것을(之) 알겠구나(知矣), 賢者過之, 不肖者不及也. (현자과지 불초자불급야) 현명한 사람은(賢者) 그것을(之) 넘어서고(過), 모자란 사람은(不肖者) 미치지 못한다(不及也). * '者'는 문장 끝에 위치해 목적어로도 쓰이지만, 기본적으로 주어로서 술어 앞에 위치하므로 술어를 찾는 단서..
2023. 5. 25.
[중용(中庸) 제1장 성도교장(性道敎章)] 성, 도, 교의 가르침 /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脩道之謂敎)
1-1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脩道之謂敎.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하늘이(天) 명한(命) 것을(之) 성이라 말하고(謂性), 성을(性) 따르는(率) 것을(之) 도라 말하고(謂道), 도를(道) 닦는(脩) 것을(之) 교라고 말한다(謂敎). * "之지"가 도치되는 경우는 앞의 목적구가 동명사적인 복합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개념이 모호하기 때문에 그것을 확정적으로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문장이 말하려는 주제는 '성性'과 '도道', '교敎'다. 앞의 두 글자는 마지막 개념어에 대한 술부에 해당한다. 그런데 제1의 명제는 앞의 두 글자가 "S+V"(天命)의 구조인데, 제2, 제3의 명제는 앞의 두 글자가 "V+O"(率性, 脩道)의 구조이다. 제2, 제3 명제의 "V+O"의 "V"는 명백하..
2023.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