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虎豹犀象之屬(호표서상지속)은 在於山(재어산)하고
호랑이(虎), 표범(豹), 물소(犀), 코끼리의(象之) 무리는(屬) 산에(於山) 있고(在)
牛馬鷄犬之物(우마계견지물)은 畜於家(휵어가)하니
소(牛), 말(馬), 닭(鷄) 개의(犬之) 동물은(物) 집에서(於家) 기르니(畜)
牛以耕墾(우이경간)이요 馬以乘載(마이승재)요
소로(牛以) 밭 갈고(耕) 개간하고(墾) 말로(馬以) 타고(乘) 짐 실으니(載)
犬以守夜(견이수야)요 鷄以司晨(계이사신)이요
개로(犬以) 밤을 지키고(守夜) 닭으로(鷄以) 새벽을 지키고(司晨)
犀取其角(서취기각)이요 象取其牙(상취기아)요
물소에서(犀) 그 뿔을(其角) 취하고(取) 코끼리에서(象) 그 이빨을(其牙) 취하니(取)
虎豹(호표)는 取其皮(취기피)니라
호랑이와 표범은(虎豹) 그 가죽을(其皮) 취한다(取)
반응형
'동양고전 입문 > 계몽편(啓蒙篇)'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몽편(啓蒙篇) 물편(物篇) 7] 주수지중 유기린언(走獸之中에 有麒麟焉하고) (0) | 2022.12.14 |
---|---|
[계몽편(啓蒙篇) 물편(物篇) 6] 산림 불다휵지금수(山林에 多不畜之禽獸하고) (0) | 2022.12.14 |
[계몽편(啓蒙篇) 물편(物篇) 4] 춘생이추사자 초야(春生而秋死者는 草也요) (0) | 2022.12.13 |
[계몽편(啓蒙篇) 물편(物篇) 3] 비금란익 주수태유(飛禽은 卵翼하고 走獸는 胎乳하며) (0) | 2022.12.12 |
[계몽편(啓蒙篇) 물편(物篇) 2] 飛者는 爲禽이요 走者는 爲獸요 (0) | 2022.1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