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禽問於子貢曰: 夫子至於是邦也, 必聞其政. 求之與? 抑與之與?(자금문어자공왈 부자지어시방야 필문기정 구지여 억여지여)
자금이 자공에게 물어 말하기를: 선생님이 어느 한 나라에 도착하면, 반드시 그 나라의 정치를 듣습니다. 구한 것인가요? 아니면 주어진 것인가요?
鄭曰: 子禽, 弟子陳亢也. 子貢, 弟子, 姓端木, 名賜.
정씨가 말하기를: 자금은, 제자 진항이다. 자공은, 제자로, 성은 단목이고, 이름은 사다.
亢怪孔子所至之邦必與聞其國政, 求而得之邪? 抑人君自願與之為治?
항이 공지가 가는 나라마다 반드시 그 나라의 국정을 듣는 것을 괴이하게 여겨, 구해서 얻은 것인가? 아니면 임금이 원해서 다스림에 참여하게 한 것인가? 하고 물은 것이다.
子貢曰: 夫子溫, 良, 恭, 儉, 讓以得之.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자공왈 부자온량공검양이득지 부자지구지야 기저이호인지구지여)
자공이 말하기를: 선생님은 온순하고, 선량하고, 공경스럽고, 검소하고, 겸손함으로 그것을 얻었다. 선생님이 그것을 구하는 것은, 아마도 다른 사람이 그것을 구하는 것과 다를 것이다!
鄭曰: 言夫子行此五德而得之, 與人求之異, 明人君自與之.
정씨가 말하기를: 선생님이 이 다섯 가지 덕을 행해서 그것을 구하는 것은, 다른 사람이 구한 것과 다르다고 말해서, 임금이 스스로 그것을 주었다고 밝혔다.
[疏]‘子禽’至‘求之’
○正義曰: 此章明夫子由其有德與聞國政之事.
○正義曰: 이 장은(此章) 부자가(夫子) 그(其) 덕이 있기(有德) 때문에(由) 국정을 듣고 참여한(與聞國政之) 일을(事) 밝혔다(明).
‘子禽問於子貢曰 夫子至於是邦也, 必聞其政, 求之與, 抑與之與’者, 子禽疑怪孔子所至之邦必與聞其國之政事, 故問子貢曰 “此是孔子求於時君而得之與, 抑人君自願與夫子爲治與.”
[‘子禽問於子貢曰 夫子至於是邦也, 必聞其政, 求之與, 抑與之與’]이란(者), 자금이(子禽) 공자가(孔子) 이른 곳의(所至之) 나라에서(邦) 반드시(必) 그 나라의(其國之) 정치에(政) 참여한(與聞) 일(事)을 괴이하게 여겼고(疑怪), 그러므로(故) 자하에게 물어 말하기를(問子貢曰) “이것은(此是) 공자가(孔子) 당시 임금에게(於時君) 요구해서(求而) 참여한 것인지(得之與), 아니면(抑) 임금이(人君) 스스로(自) 원해서(願) 부자와 더불어(與夫子) 정치한 것인가요(爲治與).”라고 했다.
抑‧與, 皆語辭. ‘子貢曰 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者, 此子貢答辭也.
억과 여는(抑‧與), 모두(皆) 어조사다(語辭). [‘子貢曰 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란(者), 이것은(此) 자공의(子貢) 답하는 말이다(答辭也).
敦柔潤澤謂之溫, 行不犯物謂之良, 和從不逆謂之恭, 去奢從約謂之儉, 先人後己謂之讓.
두텁고 부드러우며(敦柔) 윤택한 것을(潤澤) 온이라 하고(謂之溫), 행동이(行) 남을 범하지 않는 것을(不犯物) 량이라 하고(謂之良), 화순하고 거스르지 않는 것을(和從不逆) 공이라 하고(謂之恭), 사치를 없애고(去奢) 절약을 따르는 것을(從約) 검이라 하고(謂之儉), 남을 앞세우고(先人) 자기를 뒤로 하는 것을(後己) 양이라 한다(謂之讓).
言夫子行此五德而得與聞國政, 他人則就君求之, 夫子則脩德, 人君自願與之爲治, 故曰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 諸‧與, 皆語辭.
부자가(夫子) 이 다섯 가지 덕을(此五德) 행해서(行而) 정치에 참여할 수 있으니(得與聞國政), 다른 사람이라면(他人則) 임금에게 나아가(就君) 구하지만(求之), 부자는(夫子則) 덕을 닦아(脩德), 임금이(人君) 스스로 원해서(自願) 더불어(與之) 정치하고(爲治), 그러므로 말하기를(故曰)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라고 말했다(言). 제와 여는( 諸‧與), 모두(皆) 어조사다(語辭).
[疏]○注 ‘鄭曰’至‘爲治’
○正義曰: 云 ‘子禽 弟子陳亢, 子貢, 弟子, 姓端木, 名賜.’者, 家語七十二弟子篇云 “陳亢, 陳人, 字子禽, 少孔子四十歲.” 史記弟子傳云 “端木賜, 字子貢, 少孔子三十一歲.” 云 ‘求而得之邪’者, 邪, 未定之辭.
○正義曰: ‘자금은(子禽) 제자 진항이고( 弟子陳亢), 자공은(子貢), 제자로(弟子), 성이 단목이고(姓端木), 이름은 사다(名賜).’라고 한 것은(云者), 가어(家語) 72 제자 편에서 말하기를(七十二弟子篇云) “진항은(陳亢), 진나라 사람이고(陳人), 자는 자금으로(字子禽), 공자보다(孔子) 40세(四十歲) 어리다(少).”라고 했다. 사기(史記) 제자전에서 말하기를(弟子傳云) “단목사는(端木賜), 자가 자공이고(字子貢), 공자보다(孔子) 31세(三十一歲) 어리다(少).”라고 했다. [‘求而得之邪’]라고 말한 것에서(云者), 야(邪)는, 단정하지 않은(未定之) 말이다(辭).
'공맹의길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 학이(學而) 1-12] 예지용 화위귀(禮之用, 和為貴) / 예와 화(악)의 조화가 중요하다 (0) | 2022.06.24 |
---|---|
[논어주소 학이(學而) 1-11] 삼년무개어부지도(三年無改於父之道) / 부친의 도를 바꾸지 않는 것이 진정한 효 (0) | 2022.06.24 |
[논어주소 학이(學而) 1-9] 신종추원 민덕귀후의(慎終追遠, 民德歸厚矣) / 상례와 제례를 극진하게 하면 백성이 교화된다 (0) | 2022.06.24 |
[논어주소 학이(學而) 1-8] 군자부중즉불위 학즉불고(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 배우면 꽉 막힌 사람이 되지 않는다 (0) | 2022.06.24 |
[논어주소 학이(學而) 1-7] 현현역색(賢賢易色) / 여자 좋아하는 마음을 바꾸어 현인을 좋아해라 (0) | 2022.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