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子曰: 禮之用, 和為貴. 先王之道, 斯為美. 小大由之, 有所不行. 知和而和, 不以禮節之, 亦不可行也.(유자왈 예지용 화위귀 선왕지도사위미 소대유지 유소불행 지화이화 불이례절지 역불가행야)
유자가 말하기를: 예의 쓰임은, 조화를 귀하게 여긴다. 선왕의 도는 이것을 아름답게 여겼다. 크고 작은 일이 모두 여기 <조화>에서 나왔지만, <때로는> 행해지지 않는 것이 있다.
馬曰: 人知禮貴和, 而每事從和, 不以禮為節, 亦不可行.
마씨가 말하기를: 사람이 예가 조화를 귀하게 여기는 것만을 알아서, 모든 일에 조화만 따르고, 예로 절제하지 않으면, 또한 행해지지 않는다.
[疏]‘有子曰’至‘行也’
○正義曰: 此章言禮樂爲用相須乃美. ‘禮之用和爲貴’者, 和, 謂樂也. 樂主和同, 故謂樂爲和.
○正義曰: 이 장은(此章) 예악의(禮樂) 쓰임이(爲用) 서로 따르고(相須) 이에 아름답게 되는 것을(乃美) 말했다(言). 예지용 화위귀에서(‘禮之用和爲貴’者), 화는(和), 락을 말한다(謂樂也). 락은(樂) 조화롭게 같아짐을(和同) 주로 하고(主), 그러므로(故) 락이 화라고 말한다(謂樂爲和).
夫 “禮勝則離.” 謂所居不和也, 故禮貴用和, 使不至於離也.
무릇(夫) “예가 이기면(禮勝則) 흩어진다(離).” 머무는 곳이(所居) 조화롭지 않고(不和也), 그러므로(故) 예는(禮) 화를 쓰는 것을(用和) 귀하게 여겨서(貴), 흩어짐에(於離也) 이르지 않도록 해야 한다(使不至)는 말이다(謂).
‘先王之道, 斯爲美’者, 斯, 此也, 言先王治民之道, 以此禮貴和美, 禮節民心, 樂和民聲.
선왕지도 사위미에서(‘先王之道, 斯爲美’者), 사(斯)는, 이것이니(此也), 선왕이(言先王) 백성을 다스리는(治民之) 도는(道), 이 예를 씀에(以此禮) 화를 귀하게 여기는 것을(貴和) 아름답게 여기고(美), 예가(禮) 민심을 절제하고(節民心), 락이(樂) 백성의 소리를 조화롭게 한다(和民聲).
樂至則無怨, 禮至則不爭, 揖讓而治天下者, 禮樂之謂也. 是先王之美道也.
락이 지극하면(樂至則) 원망이 없고(無怨), 예가 지극하면(禮至則) 다툼이 없고(不爭), 양보해서(揖讓而) 천하를 다스린 것은(治天下者), 예악을 말한다(禮樂之謂也). 이것이(是) 선왕의(先王之) 아름다운 도다(美道也).
‘小大由之, 有所不 ’者, 由, 用也, 言每事小大皆用禮, 而不以樂和之, 則其政有所不行也.
소대유지 유소불에서(‘小大由之, 有所不’者), 유는(由), 씀이다(用也), 모든 일에서(言每事) 작고 큰일에 (小大) 모두(皆) 예를 쓰면서(用禮, 而) 락으로(以樂) 조화시키지 않으면(不和之, 則) 그 정치에서(其政) 행해지지 않는 것이(所不行) 있다(有也).
‘知和而和, 不以禮節之, 亦不可行也’者, 言人知禮貴和, 而每事從和, 不以禮爲節, 亦不可行也.
‘知和而和, 不以禮節之, 亦不可行也’者, 言人知禮貴和, 而每事從和, 不以禮爲節, 亦不可行也.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