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靈氛旣告余以吉占兮, 歷吉日乎吾將行.
折瓊枝以爲羞兮, 精瓊爢以爲粻.
爲余駕飛龍兮, 雜瑤象以爲車.
何離心之可同兮, 吾將遠逝以自疏.
邅吾道夫崐崙兮, 路修遠以周流.
揚雲霓之晻靄兮, 鳴玉鸞之啾啾.
朝發軔於天津兮, 夕余至乎西極.
鳳皇翼其承旂兮, 高翶翔之翼翼.
忽吾行此流沙兮, 遵赤水而容與.
麾蛟龍以梁津兮, 詔西皇使涉予.
路修遠以多艱兮, 騰衆車使徑待.
路不周以左轉兮, 指西海以爲期.
屯余車其千乘兮, 齊玉軑而幷馳.
駕八龍之蜿蜿兮, 載雲旗之委蛇.
抑志而弭節兮, 神高馳之邈邈.
奏九歌而舞韶兮, 聊假日以婾樂.
陟陞皇之赫戱兮, 忽臨聣夫舊鄕.
僕夫悲余馬懷兮, 蜷局顧而不行.
亂曰, 已矣哉. 國無人莫我知兮, 又何懷乎故都. 旣莫足與爲美政兮, 吾將從彭咸之所居.
반응형
'시서잡문(詩書雜文)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後集) 문편(文篇)'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3] 진나라 임금이 다른 나라 유세객을 쫓아내는 것을 반대하는 상소 / 상진황축객서(上秦皇逐客書) / 이사(李斯) (0) | 2023.10.04 |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2] 어부의 노래 / 어부사(漁父辭) / 굴원(屈原) (0) | 2023.10.03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11] 이소(離騷, 근심(슬픔)을 만나다), 굴원(屈原), 굴원의 회한 (0) | 2023.10.02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10] 이소(離騷, 근심(슬픔)을 만나다), 굴원(屈原), 무함의 충고 (0) | 2023.10.02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1-8] 이소(離騷, 근심(슬픔)을 만나다), 굴원(屈原), 하늘 세계를 두루 돌아다니다(2) (0) | 2023.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