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문법/한문 문법 기본 상식 64

[한문 문법 기본 상식 25] 자(者)자 구조와 소(所)자 구조의 차이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3. 4.
반응형

"者" 구조와 "所" 구조는 모두 輔助性 대명사와 기타 낱말 결합으로 이루어진 명사성 구문이다. 그러나 그것들의 구성 격식과 나타내는 바의 뜻은 다르다. 

 

하나. 두 구조의 내부 단어 배열이 같지 않다. "者"자는 기타 단어 뒤에 위치하고, "所"자는 기타 단어 앞에 위치한다.

 

둘. 두 가지 구조의 구성 격식이 같지 않다. "" 구조의 격식은 "動+者”, “形容詞+者”, “數詞+者”, “名詞+者의 네 가지가 있다. "" 구조의 양식은 대부분 "所+動詞”, "所+전치사+動詞”의 두 가지가 있고, 확장 구조로 "구조+"와 "구조+(之)名詞"의 두 종류가 있다.

 

始臣之解牛之時, 所見無非全牛者.
☞ 처음 제가 소를 잡았을 때에는 눈에 보이는 것이 전체 소 아닌 것이 없었다.

 "所見"은 또한 “所見者" 혹은 "所見之牛”로 쓸 수 있다.

 

 此寡人之所見者也.
이것은 과인이 본 것이네.

 "所見"는 또한 “所見" 혹은 "所見之物"로 쓸 수 있다.

 

“所見者”와 같은 “所”자 구조의 확장식에서 “”는 또 “所”자 구조의 輔助性 대명사를 複指한다. 그래서 "所자 구조+"는 실제로 “所”자 구조 뜻을 가진 ”자 구조를 나타내고, 이것은 "名詞+"류의 성질, 격식과 지칭하는 뜻은 모두 일치한다.

 

人之所欲者, 吾土地也.

 오랑캐가 원하는 것은 우리의 토지이다.

 ""는 또 ""자 구조 "所欲"을 複指한다.

 

셋. ""자 구조""자 구조는 모두 타동사와 결합할 수 있으나, 성질, 의의는 매우 서로 다르다. ""자 구조는 동작 행위의 주동자를 가리키고, "所"자 구조는 동작행위의 대상을 가리킨다.

 

 古之學者必有師.
 옛날 배우는 자들은 반드시 스승이 있었다. ["學者"는 "배우는 사람"을 가리키고]
 姑舍女所學而從我.
 우선 네가 배운 것을 버리고 나를 따르라. ["所學"은 "배운 내용"을 가리킨다.]

 

見者驚猶鬼神.
 보는 사람들이 모두 신기의 솜씨에 놀랐다. ["見"는 "사물을 보는 사람"을 가리킨다.]

 所見諸物, 與年十歲時所見, 無以異也.

 여러 사물을 보는 바는 열 살 때 보는 바와 다름이 없다. ["所見"은 "보이는 물건"을 가리킨다.]

 

<출처: 한문 문법 기본 상식 64 / 이종호 역 / 도서출판 지성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