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문법/한문 문법 구조 분석

[한문의 허사 - 부사 6] 어기부사와 누가부사(固, 乃, 果, 胎, 或, 曾, 敢, 竊, 庶幾, 滋, 又, 復, 亟)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9. 15.
반응형

어기부사는 확인이나 강조, 추측을 나타내는 부사로 술어 앞에서 술어의 동작이나 상태에 대한 어기를 나타낸다.

 

1) 固

확인이나 강조하는 어기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정말로, 본래'로 해석한다.

 

百工之事, 固不可耕且為也.
(백공의 일은 정말로 밭을 갈면서 또 할 수 없는 것이다.)
☞ ‘百工之事(주어) + 固(부사어) + 不 + 可(조동사) + 耕且爲(술어) +也'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가 동사를 수식한다.

 

孟子曰 不亦善乎? 親喪固所自盡也.
(맹자께서 말씀하기를 '또한 좋지 않은가? 부모상은 진실로 직접 정성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親喪(주어) + 固(부사어) + 所自盡(술어) + 也'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가 명사를 수식한다.

 

2) 乃

확인이나 강조하는 어기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곧, 바로'라고 해석한다.

 

無傷也, 是乃仁術也.
(상심하지 마라, 이것이 바로 어짊의 방법이다.)
 '是(주어) + 乃(부사어) + 仁術(술어) + 也'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乃'가 명사를 수식한다.

 

晭晭胥議, 民乃作慝.
(눈을 흘겨보며 서로 헐뜯는데, 백성들이 곧 사특한 생각을 하게 한다.)
'民(주어) + 乃(부사어) + 作(술어) + 慝(목적어)'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가 동사를 수식한다.

 

3) 果

확인하는 어기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과연, 결국'으로 해석한다.

 

嬖人有臧倉者沮君, 君是以不果來也.
(총애하는 신하인 장창이라는 자가 군주를 제지하였고, 군주가 이로 인해 결국 오지 못하였다.)
'君(주어) + 是以(접속사) + 不 + 果(부사어) + 來(술어) + 也'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果가 동사를 수식한다.

 

王使人夫子, 果有以異於人乎? 

(왕이 사람을 시켜 선생님을 엿보게 하였는데, 과연 다른 사람과 다른 점 이 있습니까?)
'果(부사어) + 有(술어) + 以異於人(목적어) + '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果'가 동사를 수식한다.

 

4) 胎

추측의 어기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거의, 정말로'로 해석한다.


國人皆以夫子將復為發棠, 殆不可復. (백성들이 모두 선생님께서 장차 다시 당의 창고를 열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거의 다시 할 수 없을 듯합니다.)
'殆(부사어) + 不 + 可(조동사) + 復(부사어)'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殆'가 동사를 수식한다.

 

殆有甚焉, 緣木求魚, 雖不得魚, 無後災 

(정말로 더 심한 것이 있다. 나무에 올라가 고기를 구하는 것은 비록 고기를 얻지 못해도 뒤의 재앙은 없다.)
 '殆(부사어) + 有(술어) + 甚(목적어) + 焉'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殆'가 동사를 수식한다.

 

5) 或
추측의 어기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행여, 아마'로 해석한다.

 

夫豈不義而會子言之?是或一道也.
(대저 어찌 의롭지 않은데 증자가 말했겠는가? 이것도 아마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是(주어) + 或(부사어) + 一道(술어)+也'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이 명사를 수식한다.


雖使五尺之童適市, 莫之或欺.
(비록 오 척의 동자로 하여금 시장에 가게 하더라도 아마 아이를 속이지 않을 것이다.)
'莫 + 之(목적어) + 或(부사어) + (술어)'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或'이 동사를 수식한다.

 

6) 曾

의외의 뜻을 나타내는 어기부사로서 우리말로 '정말로'로 해석한다.

 

功烈如彼其卑也, 何會比予於是? 

(그의 공과 명예가 저와 같이 낮은데, 당신은 어찌 나를 이런 사람과 비교하는가?)

☞ '爾(주어) + 何(의문부사) + 曾(부사어) + 比(술어) + (목적어) + 於(개사) + 是(개사목적어)'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이 동사를 수식한다.

 

會不知以食牛干秦穆公之為污也, 可謂智乎?
(소 먹이는 것으로써 진목공에게 벼슬 구하는 것이 더러운 일이 된다는 것을 정말로 몰랐다면 지혜롭다고 할 수 있겠는가?)
'曾(부사어) + 不 + 知(술어) + 以食牛干秦穆公之爲汚(목적어) + 也'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이 동사를 수식한다.

 

7) 敢

겸비와 예절을 갖추는 어기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감히'로 해석한다.

 

今此下民, 或敢侮予?
(지금 이 백성들이 행여 감히 나를 모욕하겠는가?)
 '今(부사어) + 此下民(주어) + 或(부사어) + 敢(부사어) + 侮(술어) + 予(목적어)'의 구조로서 어기사 '敢'이 동사를 수식한다.

 

牲殺器皿衣服不備, 不敢以祭, 則不敢以宴, 亦不 足弔乎? 
(희생과 제기와 제복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감히 제사 지내지 못하게 되고, 감히 주연을 베풀지 못하니 또한 위로할 만하지 않겠는가?)부터
'不 + 敢(부사어) + 以(개사) + 祭(술어)', '不 + 敢(부사어) + 以(개사) + 宴(술어)'의 구조로서 '不敢'은 '감히 ~하지 못한다'로 해석한다.

 

面深墨, 即位而哭, 百官有司莫敢不哀, 先之. 
(얼굴이 짙은 흑색이 되어 자리에 나아가서 곡을 하면 백관과 유사들이 감히 슬퍼하지 않는 이가 없는 것은 윗사람이 먼저 하기 때문이다.)
'有司(주어) + 莫 + 敢(부사어) + 不 + 哀(술어)'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莫敢이 부정사 '不'과 결합하여 부정의 어기를 나타낸다.

 

以士之招招庶人, 庶人豈敢往哉?
(선비의 부름으로써 서인을 부른다면, 서인이 어찌 감히 갈 수 있겠는가?)
'庶人(주어) + 豈(의문부사) + 敢(부사어) + 往(술어) + 哉'의 구조로서 '敢'이 의문부사와 결합하여 반어의 어기를 나타낸다.

 

8) 竊

상대방에 대해 겸손과 존경을 나타내며 우리말로 '삼가, 조심스럽게'로 해석한다.

 

昔者竊聞之, 子夏子游子張皆有聖人之一體 
(예전에 제가 얼핏 들으니 자하, 자유, 자장은 모두 성인의 한 몸을 가지고 있다고 했습니다.)
 '昔者(부사어) + 竊(부사어) + 聞(술어) + 之(목적어)'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竊'이 동사를 수식한다.

 

9) 庶幾

추측하거나 상대방에게 바람이 있음을 나타내며 우리말로 '혹시, 행여'로 해석한다.

 

王庶幾改之, 王如改諸, 則必反予.
(왕이 행여 고치시기를 바라노니, 왕이 만일 고치신다면 반드시 나를 돌아오게 할 것이다.)
 '(주어) + 庶幾(부사어) + (술어) + 之(목적어)'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庶幾'가 동사를 수식한다.

 

10) 滋

동작이나 상태가 점차 변화됨을 나타내며 우리말로 '더욱'으로 해석한다.

 

子柳子思為臣, 魯之削也滋甚.
(자류와 자사가 신하가 되었으나 노나라 땅의 빼앗김이 더욱 심하였다.)
 '魯之削(주어) + 也(어기사) + 滋(부사어) + 甚(술어)'의 구조로서 어기부사 '滋'가 형용사를 수식한다.

 

11) 又

上句에서 어떤 동작이나 행위가 진행되고 下에서 다시 반복되거나 누적됨을 나타낸다. 

 

墨者夷之因徐辟而求見孟子. … 他日又求見孟子.
(묵자인 이지가 서벽을 통하여 맹자를 만나 뵙기를 부탁하였다. 다른 날에 또 맹자 뵙기를 청하였다.) 
'他日(부사어) + 又(부사어) + 求見(술어) + 孟子(목적어)'의 구조로서 ''가 누가부사가 되어 동사를 수식한다.

 

其地同, 樹之時又同, 淳然而生.
(그 땅이 같고 심는 시기가 또한 같으면 왕성하게 싹이 자란다.)
'樹之(주어) + 又(부사어) + 同(술어)'의 구조로서 ''가 누가부사가 되어 형용사를 수식한다.

 

12) 復

上句에서 어떤 동작이나 행위가 진행되고 下에서 다시 반복되거나 누적됨을 나타낸다. 

 

世子自楚反, 復見孟子.
(세자가 초나라에서 돌아오는 길에 다시 맹자를 알현하였다.)
'世子(주어) + 自(개사) + 楚(개사목적어) + 反(술어), 復(부사어) + 見(술어) + 孟子(목적어)'의 구조로서 누가부사 '復'가 동사를 수식한다.

 

13) 亟

上句에서 어떤 동작이나 행위가 진행되고 下에서 연속하는 것 을 나타내며 우리말로 '자주'로 해석한다.

 

繆公之於子思也, 問, 醜鼎肉.

(목공이 자사에 대하여 자주 문안하고 자주 삶은 고기를 보냈다.)
 '亟(부사어) + 問(술어), (부사어) + (술어) + 鼎肉(목적어)'의 구조로서 누가부사 ''가 동사를 수식한다.

 

14) 且

동작이나 상태가 다시 발생하여 누적됨을 나타내며 우리말로 '또한'으로 해석한다.

 

以紂為兄之子, 且以為君, 而有微子啟王子比干.
(주왕을 형의 아들로 삼고 또한 군주로 삼았는데 미자 계와 왕자 비간이 나왔다.)

 

[출처: 안병국, 맹자 한문 문법의 구조 분석, 2018]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