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어는 일반적으로 술어 다음에 오고 술어의 동작이나 행위를 받게 된다.
1) 명사(구) 목적어
善政得民財, 善敎得民心.
(선한 정치는 백성의 재물을 얻고, 선한 가르침은 백성의 마음을 얻는다.)
☞ '善政(주어) + 得(술어) + 民財(목적어), 善敎(주어) + 得(술어) + 民心(목적어)'의 구조로서 명사 '民財'와 '民心'이 동사의 목적어가 된다.
君子有終身之憂, 無一朝之患也.
(군자는 종신토록 하는 근심은 있어도 하루아침의 걱정은 없다.)
☞ '君子(주어) + 有(술어) + 終身之憂(목적어), 無(술어) + 一朝之患(목적어) + 也'의 구조로서 명사구 '終身之憂'와 '一朝之患'이 동사의 목적어가 된다.
2) 형용사 목적어
武王不泄邇, 不忘遠.
(무왕은 가까운 자를 친압하지 않으며 먼 자를 잊지 않으셨다.)
☞ ‘武王(주어) + 不 + 泄(술어) + 邇(목적어), 不 + 忘(술어) +遠(목적어)'의 구조로서 형용사 '邇'와 '遠'이 목적어가 되면 명사의 역할을 한다.
權然後知輕重, 度然後知長短.
(저울질을 하고 나서 가볍고 무거운 것을 알게 되며, 재어 보고 나서 길고 짧은 것을 안다.)
☞ '權(술어) + 然後(접속사)+ 知(술어) + 輕重(목적어), 度(술어)+ 然後(접속사) + 知(술어) + 長短(목적어)'의 구조로서 형용사 '輕重'과 '長短'이 목적어가 되면 명사의 역할을 한다.
3) 동사 목적어
子好遊乎? 吾語子遊.
(그대는 유세하는 것을 좋아하는가? 내가 그대에게 유세에 대해 말해 주겠다.)
☞ '子(주어) + 好(술어) + 遊(목적어) +乎, 吾(주어) + 語(술어) + 子(목적어) + 遊(목적어)'의 구조로서 동사 '遊'가 목적어가 되면 '유세'로 해석한다.
方命虐民, 飲食若流.
(천명을 거역하여 백성을 학대하고, 먹고 마시는 것이 물 흐르듯 낭비하였다.)
☞ '飮食(주어) + 若(술어) + 流(목적어)'의 구조로서 동사 '流'가 목적어가 되면 '물과 같은 낭비'로 해석한다.
4) 목적어절(주술구조)
吾為之範我馳驅, 終日不獲一.回
(내가 그를 위해 말 모는 것을 법대로 하였더니 종일토록 한 마리도 잡지 못하였다.)
☞ '吾(주어) + 爲(개사) + 之(개사목적어) + 範(술어) + 我馳驅(목적어)'의 구조이다. 목적어는 다시 '我(주어) + 駙驅(술어)'가 되어 주술구조가 목적어가 된다.
夫子何以知其將見殺?
(선생님은 어떻게 그가 장차 죽임을 당할 것을 아셨습니까?)
☞ '夫子(주어) + 何以(의문부사) + 知(술어) + 其將見殺(목적어)'의 구조이다. 목적어는 다시 '其(주어) + 將(부사어) + 見殺(술어)'가 되어 주술구조가 목적어가 된다.
5) 목적어절(술목구조)
稷思天下有飢者, 由己飢之也.
(후직은 천하에 굶주린 사람이 있으면 마치 자신이 굶주리게 한 것 같다고 생각하였다.)
☞ '稷(주어) + 思(술어) + 天下有飢者, 由己飢之(목적어) + 也'의 구조이다. 목적어는 다시 '天下有飢者(주어) + 由(술어) + 己飢之(목적)'가 되어 술목구조가 목적어가 된다.
孔子不悅於魯衛, 遭宋司馬將要而殺之。
(공자께서 노나라와 위나라에 머물기를 좋아하지 않아서, 송나라 사마가 장차 초대하여 죽이려 함을 만났다.)
☞ '遭(술어) + 宋司馬將要而殺之(목적어)'의 구조이다. 목적어는 다시 '司馬(주어) + 將(부사어) + 要(술어) + 而(접속사) + 殺(술어) + 之(목적어)'가 되어 술목구조가 목적어가 된다.
思天下之民匹夫匹婦有不與被堯舜之澤者, 若己 推而納之溝中.
(천하의 백성 중에 필부와 필부가 요순의 혜택을 입는 데 참여하지 못한 자가 있으면, 마치 자신이 그를 밀어 도랑에 들어가게 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 '思(술어) +天下之民匹夫匹婦有不與被堯舜之澤者, 若己推而納之溝中(목적어)'의 구조이다. 목적어는 다시 ' 民匹夫匹婦有不與被堯舜之澤者(주어) + 若(술어)+己推而納之溝中(목적어)'가 되어 술목구조가 목적어가 된다.
6) 목적어절의 주격조사 '之'
知虞公之將亡而先去之,不可謂不智也.
(우공이 장차 멸망할 줄을 알고 먼저 그곳을 떠났으니, 지혜롭지 않다고 말할 수 없다.)
☞ '知(술어) + 虞公之將亡(목적어) + 而(접속사) + 先(부사어) + 去(술어) + 之(목적)'의 구조이다. 목적어는 다시 '虞公(주어) + 之(조사) + 將(부사어) + 亡(술어)'가 되어 조사 '之'가 목적어절 안에서 주어와 술어를 연결한다.
陽貨矙孔子之亡也, 而饋孔子蒸豚.
(양화는 공자가 집에 없는 때를 엿보아 공자에게 삶은 돼지고기를 보냈다.)
☞ '陽貨(주어) + 矙(술어) + 孔子之亡(목적어) + 也'의 구조이다. 목적어는 다시 '孔子(주어) + 之(조사) + 亡(술어)'가 되어 조사 '之'가 목적어절서 안에 주어와 술어를 연결한다.
7) 목적어절의 주어+개사 구조
吾聞其以堯舜之道要湯, 未聞以割烹也.
(나는 그가 요순의 도로써 탕왕에게 등용되기를 요구했다는 말은 들었지 음식을 요리함으로써 했다는 말은 들어 보지 못하였다.)
☞ '吾(주어) + 聞(술어) + 其以堯舜之道要湯(목적어)'의 구조이다. 목적어는 다시 '其(주어) + 以(개사) + 堯舜之道(개사목적어) + 要(술어)+ 湯(목적어)'가 되어 목적어절 안에서 개사구조가 연결한다.
[출처: 안병국, 맹자 한문 문법의 구조 분석, 2018]
'한문 문법 > 한문 문법 구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문장 구조 - 목적어 3] 목적어의 도치와 생략 (0) | 2023.09.08 |
---|---|
[한문의 문장 구조 - 목적어 2] 목적어의 도치 (주어+목적어+술어) (0) | 2023.09.08 |
[한문의 문장 구조 - 술어 3] 접속사 술어 / 형용사 술어 / 술어의 생략과 도치 (0) | 2023.09.07 |
[한문의 문장 구조 - 술어 2] 술어가 되는 명사 (0) | 2023.09.07 |
[한문의 문장 구조 - 술어 1] 명사/명사구 술어의 판단문 (0) | 2023.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