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어 배우기/문장기술10

[우리말 우리글; 문장 기술 2장] 중복 피하기 (2) - 의미 중복과 겹말 의미 중복 내용상 동일한 의미가 되풀이되는 것을 말한다.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로 잊어선 안 된다”에서처럼 의미를 부연하거나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행복해지려면 우선 자신의 건강부터 먼저 신경 써야 한다. 예상치 못한 갑작스러운 출장으로 옷가지를 챙겨 오지 못했다. 지난해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실질국내총생산 증가율은 겨우 3.1%에 불과했다. 시험에 대한 중압감으로 너무 많이 신경을 써 지나치게 고민하면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아울러 부유층에게는 세금을 아무리 많이 물려도 괜찮다는 쪽으로 사회 분위기가 몰리는 것도 문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비브리오 패혈증은 똑같이 회를 먹더라도 건강인이 걸리는 병은 아니며 면역 기능이 떨어진 환자에게서만 발생하는 기 회감염병이다. ☞ '건강인이 걸.. 2023. 2. 15.
[우리말 우리글; 문장 기술 2장] 중복 피하기 (1) - 단어 중복과 구절 중복 단어 중복 글을 쓰면서 "어떤 경우에는 ~한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한다"는 식으로 같은 단어를 반복 사용해서 볼품없는 문장을 만드는 일이 있다. 이처럼 반복되는 단어는 의미상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다른 낱말로 바꾸거나 꼭 필요하지 않은 것은 생략하면 중복 없는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우리 완성차 업계의 평균 임금 수준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 평균 임금은 우리 학교는 이 지역에서 역사와 전통이 가장 오래된 학교이며, 훌륭한 인재를 많이 배출한 학교다. ☞ 오래됐고, 배출했다. 아직은 고객이 많지 않지만 문의가 많아지고 찾아오는 손님도 많아지고 있어 전망이 밝다. ☞ '늘어나고, 증가하고'처럼 같은 뜻을 가진 다른 단어로 바꿀 수 있다. 나만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 2023. 2. 15.
[우리말 우리글; 문장 기술 1장] 간단명료하게 - 문장은 짧게 잘 짜인 문장이라 하더라도 길면 사람의 호흡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읽어 내려가기 힘들고 지루하다. 한 문장은 딱히 몇 자가 돼야 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30자나 50자 이내가 적당하다. 한 문장에 한 가지 내용만 담는다는 생각으로 짧게 끊어 쓰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짧은 문장이 계속 이어지면 단조로우므로 길이에 적당히 변화를 주는 것도 필요하다. 많은 수험생이 전공과 대학의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깨닫지 못하고 // 인기학과나 소위 명문 대학을 중시해 진학하는 경향이 짙으며, // 특히 최근에는 취업난 때문에 졸업 후 진로에 대한 고민으로 학과 선호도가 분명해지고 있지만 // 자신에게 맞지 않는 전공을 선택해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의 경우 전공 공부에 흥미를 갖지 못하고 방황하는 사례가.. 2023. 2. 14.
[우리말 우리글; 문장 기술 1장] 간단명료하게 - 이해하기 쉽게 쉽고도 간단하게 쓸 수 있는 내용을 공연히 복잡하고 어렵게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글은 전달력을 우선으로 한다. 글을 쓰는 목적이 전달에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작성하는 것이 쉽게 쓰는 것일까? 무엇보다 쉬운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 즉 빈도 가 높은 단어를 써야 한다.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마음 놓고 투자하기는 어렵다. ☞ 불확실한 우리가 매일같이 마시는 물이나 공기의 소중함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듯이 우리는 가정의 소중함을 마음에 깊이 새기지 못하고 살아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 ☞ '모르듯이', '잊고' 욕망의 상품화라는 필연성과 여성에 대한 처절한 폭력을 근절한다는 가능성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는 이러한 가능성을 현실화할 수 .. 2023. 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