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끝에서 문장 전체의 어기를 강조한다.
1) 也
문장 끝에서 서술, 단정, 의문, 감탄, 사역 등의 어기를 나타낸다.
1-1) 판단문의 경우
명사가 술어인 문장 끝에서 '~이다, ~와 같다'로 해석하며 판단의 어기를 나타낸다.
治則進, 亂則退, 伯夷也.
(다스려지면 나아가 벼슬하고 어지러우면 물러나는 것이 백이이다.)
☞ ‘治則進, 亂則(주어) + 伯夷(술어) + 也'의 구조로서 '也’가 판단의 어기를 나타낸다.
1-2) 판단문이 아닌 경우
서술문의 끝에서 서술한 내용에 대해 긍정하고 단정하는 어기를 나타낸다.
生民以來, 未有盛於孔子也.
(백성들이 태어난 이래로 공자보다 더 훌륭한 분은 있지 않다.)
☞ '未 + 有(술어) + 盛於孔子(목적어) + 也'의 구조로서 '也'가 서술문에서 단정의 어기를 나타낸다.
且王者之不作, 未有疏於此時者也.
(또한 어진 왕이 나타나지 않음이 지금보다 더 드문 때도 없었다.)
☞ '且(부사어) + 王者之不作(주어) + 未 + 有(술어) + 疏於此時(목적어) + 也'의 구조로서 '也'가 서술문에서 단정의 어기를 나타낸다.
1-3) 의문문의 경우
의문사가 있는 문장 끝에서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이 경우의 문사 가운데 '誰'와 '何'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사
吾王之好鼓樂, 夫何使我至於此極也?
(우리 왕이 음악 연주를 좋아함이여, 대저 어떻게 우리로 하여금 이 곤궁에 이르게 하는가?)
☞ '夫+ 何(의문부사) + 使(사역동사) + 我(목적어) + 至(술어) + 於(개사) + 極(개사목적어) + 也'의 구조로서 '也'가 의문사와 결합하여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問其僕曰 追我者誰也?
(그 마부에게 묻기를 '나를 추격하는 사람이 누구인가'라고 하였다.)
☞ '追我者(주어) + 誰(술어) + 也'의 구조로서 '也'가 의문사와 결합하여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반어문의 끝에서 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보통 술어 앞이나 뒤에서 부사의 조력을 받기도 한다.
齊人無以仁義與王言者, 豈以仁義為不美也?
(제나라 사람이 인의로써 왕에게 말하는 사람이 없는데, 어찌 인의를 아름답지 않다고 여겨서겠는가?)
☞ '豈(의문부사) + 以(개사) + 仁義(개사목적어) + 爲(술어) + 不美(목적어) + 也'의 구조로서 '也'가 의문사와 결합하여 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1-4) 감탄문의 경우
주어 앞으로 술어를 도치하여 감탄이나 탄식을 나타낼 경우 도치한 주어 다음에 사용한다.
晏子對曰 善哉, 問也.
(안자가 대답하기를 '훌륭하구나, 질문이여!'라고 하였다.)
☞ '善(술어) + 哉 + 問(주어) + 也'의 구조로서 '也'가 구말에서 감탄의 어기를 나타낸다.
1-5) 금지문의 경우
상대방에게 어떤 일을 하지 말도록 금지할 경우 사용하며 부정 부사'勿'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必有事焉而勿正, 心勿忘, 勿助長也.
(반드시 힘쓰되 미리 단정하지 말고 마음에 잊지 말고 억지로 돕지 말아야 한다.)
☞ '勿 + 助(술어) + 長(목적어) + 也'의 구조로서 '也'가 금지부정사와 결합하여 금지의 어기를 나타낸다.
2) 矣
사물의 과거 상태나 미래 사실에 대해 변화를 긍정하고 예측하거나 명령, 결단 혹은 청구하는 어기를 나타낸다.
2-1) 서술문의 경우
과거에 발생한 사건이나 정황을 강조하는 어기를 나타낸다.
王無親臣矣. 昔者所進, 今日不知其亡也.
(왕은 친한 신하가 없어졌습니다. 예전에 등용한 신하가 오늘 없어진 것도 모르고 있습니다.)
☞ '王(주어) + 無(술어) + 親臣(목적어) + 矣'의 구조로서 '矣’가 구말에서 과거 사실에 대한 정황을 판단한다.
미래 사실에 대한 정황을 나타낸다. 어기사 '也'가 현재 상황을 판단하고 긍정한다면, '矣'는 미래 상황에 대한 진행을 알리고자 한다.
上下交征利, 而國危矣.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이익을 취한다면, 나라가 위태롭게 될 것이다.)
☞ '而(접속사) + 國(주어) + 危(술어) + 矣'의 구조로서 '矣'가 구말에서 미래 사실에 대한 정황을 판단한다.
人不可以無恥. 無恥之耶, 無恥矣.
(사람이 부끄러움이 없어서는 안 된다. 부끄러움이 없는 것을 부끄러워한 다면 부끄러움이 없게 될 것이다.)
☞ '無恥(목적어) + 之(조사) + 恥(술어), 無(술어) + 恥(목적어) + 矣'의 구조로서 '矣'가 구말에서 미래 사실에 대한 정황을 판단한다.
2-2) 의문문의 경우
의문사 '何如'와 결합하여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德何如, 則可以王矣?
(덕이 어떠해야 왕 노릇 할 수 있겠습니까?)
☞ '德(주어) + 何如(의문부사) + 則(조사) + 可以(조동사) + 王(술어) + 矣'의 구조로서 '矣'가 '何如'와 결합하여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何如斯可謂狂矣?
(어떻게 하면 미친 듯 기세가 높다고 할 수 있는가?)
☞ '何如(의문부사) + 斯(조사) + 可(조동사) + 謂(술어) + 狂(목적어) + 矣'의 구조로서 '矣'가 '何如'와 결합하여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2-3) 금지문의 경우
부정부사'勿'과 결합하여 구말에서 금지하는 어기를 나타낸다.
王欲行王政, 則勿毁之矣.
(왕께서 왕도정치를 행하고자 하신다면 그것을 허물지 마소서.)
☞ '勿 + 毁(술어) + 之(목적어) + 矣'의 구조로서 '勿'과 '矣'가 결합하여 금지의 어기를 나타낸다.
2-4) 감탄문의 경우
주어 앞으로 술어를 도치하여 감탄이나 탄식을 나타낼 경우 도치한 주어나 술어 다음에 사용한다.
大哉, 言矣!寡人有疾, 寡人好勇.
(훌륭하도다, 말씀이여! 과인이 병이 있는데, 과인이 용맹을 좋아합니다.)
☞ '大(술어) + 哉 + 言(주어) + 矣'의 구조로서 '矣'가 구말에서 감탄의 어기를 나타낸다.
3) 乎
문장 끝에서 의문, 반문, 감탄의 어기를 나타낸다.
3-1) 의문문의 경우
화자가 어떤 사건을 말하고 긍정이나 부정의 대답을 기다리는 경우에 사용한다.
顧鴻雁麋鹿曰 賢者亦樂此乎?
(기러기와 사슴을 돌아보고 '현자도 또한 이것을 즐거워합니까'라고 물었다.)
☞ '賢者(주어) + 亦(부사어) + 樂(술어) + 此(목적어) + 乎'의 구조로서 '乎'가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3-2) 선택문의 경우
'A…乎? B…乎(與)'의 구문으로 A와 B 중 선택을 요구할 경우 문장 끝에 사용한다.
滕小國也, 間於齊楚. 事齊乎? 事楚乎? <梁下 13>
(등나라는 작은 나라로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여 있습니다. 제나라를 섬겨야 합니까? 초나라를 섬겨야 합니까?)
☞ '事(술어) + 齊(목적어) + 乎, 事(술어) + 楚(목적어) + 乎'의 구조로서 '乎'가 구말에서 선택을 유도한다.
3-3) 반어문의 경우
'乎'가 구말에서 반어형을 유도하기도 한다.
聖人之憂民如此, 而暇耕乎?
(성인이 백성을 걱정함이 이와 같은데 밭 갈 겨를이 있겠는가?)
☞ '而(접속사) + 暇술어 )+耕(목적어) + 乎'의 구조로서 '乎'가 구말에서 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또한, '乎포'가 또 '不亦'이나 '不爲'와 호응하여 반어형을 유도한다.
3-4) 추측문의 경우
구말어기사 '乎'가 조사 '其'와 호응하여 추측의 뜻을 나타낸다.
知我者, 其惟春秋乎!罪我者其惟春秋乎!
(나를 알아주는 것은 아마 오직 춘추일 것이다. 나를 벌하는 것도 아마 오직 춘추일 것이다.)
☞ ‘知我者(주어) + 其(조사) + 惟(부사어) + 春秋(술어) + 乎'의 구조로서 '其'가 '乎'와 호응하여 추측의 어기를 나타낸다.
4) 焉
주로 서술문에서 단정의 어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의문이나 반문의 어기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구말어기사 '乎'와 용법이 같다.
4-1) 서술문의 경우
國君好仁, 天下無敵焉.
(나라의 군주가 인을 좋아하면 천하에 적이 없는 법이다.)
☞ '天下(주어) + 無(술어) + 敵(목적) + 焉'의 구조로서 '焉'이 단정의 어기를 나타낸다.
4-2) 반어문의 경우
의문사와 결합하여 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如此則與禽獸奚擇哉?於禽獸又何難焉?
(이와 같으면 금수와 어찌 구별되겠는가? 금수에게 또 무엇을 꾸짖으리오?)
☞ '於(개사) + 禽獸(개사목적어) + 又(부사어) + 何(목적어) + 難(술어) + 焉'의 구조로서 '焉'이 의문사 '何'와 결합하여 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5) 耳
보통 술어문에서 한정의 어기를 나타내며 '爾'와 음이 같고 동시에 '而已'의 합음사로서 우리말로 '~일 뿐이다'로 해석한다.
直不百步耳, 是亦走也.
(다만 백 보를 달아나지 않았을 뿐이지 이 역시 도망간 것이다.)
☞ '直(부사어) + 不 + 百步(술어) + 耳'의 구조로서 '耳'가 한정 부사 '直'과 결합하여 한정의 뜻을 나타낸다.
古之為市者, 以其所有易其所無者, 有司者治之耳.
(옛날에 시장에서 장사하는 자는 그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없는 것을 바꾸었고, 유사가 시장을 관리할 뿐이었다.)
☞ '有司者(주어) + 治(술어) + 之(목적어) + 耳'의 구조로서 '耳'가 한정의 뜻을 나타낸다.
6) 哉
보통 문장 끝에서 의문과 감탄의 어기를 나타낸다.
6-1) 의문문의 경우
의문부사와 결합하여 의문의 어기를 나타내며 주로 '何...哉' 혹 은 '何哉'의 구문 형식을 취한다.
是誠何心哉?我非愛其財而易之以羊也.
(이것이 진실로 어떤 마음인가? 내가 재물을 아껴서 양과 바꾸고자 한 것이 아니다.)
☞ '是(주어) + 誠(부사어) + 何(술어) + 哉'의 구조로서 '哉'가 의문사 '何'와 결합하여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如不待其招而往, 何哉?
(만일 그 부름을 기다리지 않고 간다면 어찌하겠습니까?)
☞ '如(접속사) + 不 + 待(술어) + 其招(목적어) + 而(접속사) + 往(술어), 何(의문부사) + 哉'의 구조로서 '哉'가 의문부사 '何'와 결합하여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6-2) 반어문의 경우
구말어기사 '哉'가 의문부사와 결합하여 반어의 어기를 나타낸다.
當今之世, 舍我其誰也? 吾何為不豫哉?
(지금 세상을 당하여 나를 버리고 누가 하겠는가? 내가 어찌하여 기뻐하지 않겠는가?)
☞ '吾(주어) + 何爲(의문부사) + 不 + 豫(술어) + 哉'의 구조로서 '哉'가 의문사 '何'와 결합하여 반어의 어기를 나타낸다.
臧氏之子焉能使予不遇哉?
(장씨의 아들이 어찌 나로 하여금 만나지 못하게 할 수 있겠는가?)
☞ '臧氏之子(주어) + 焉(의문부사) + 能(조동사) + 使(사역동사) + 予(목적어) + 不 + 遇(술어) + 哉'의 구조로서 '哉'가 의문부사 '焉'과 결합하여 반어의 어기를 나타낸다.
堯舜之治天下, 豈無所用其心哉?
(요순이 천하를 다스림에 어찌 마음을 쓰신 바가 없겠는가?)
☞ '豈(의문부사) + 無(술어) + 所用其心(목적어) + 哉'의 구조로 서 '哉'가 의문사 '豈'와 결합하여 반어의 어기를 나타낸다.
夫尹士惡知予哉?
(저 윤사라는 자가 어찌 나를 알겠는가?)
☞ '夫 + 尹士(주어) + 惡(의문부사) +知(술어) + 予子(목적어) + 哉'의 구조로서 '哉'가 의문사 '惡'와 결합하여 반어의 어기를 나타낸다.
何以異於人哉?堯舜與人同耳.
(어찌 다른 사람과 다르겠는가? 요순도 다른 사람과 같을 뿐이다.)
☞ '何以(의문부사) + 異(술어) + 於(개사) + 人(개사목적어) + 哉'의 구조로서 '哉'가 의문사 '何以'와 결합하여 반어의 어기를 나타낸다.
6-3) 감탄문의 경우
구말어기사 '哉'가 주로 문장 끝에서 감탄의 어기를 나타낸다.
子產曰 得其所哉!得其所哉!
(자산이 말하기를 '살 곳을 얻었구나! 살 곳을 얻었구나!'라고 하였다.)
☞ '得(술어) + 其所(목적어) + 哉'의 구조로서 ''가 감탄의 어기를 나타낸다.
仲尼稱於水, 曰 水哉! 水哉!何取於水也?
(공자께서 자주 물을 칭송하면서 말씀하기를 '물이구나! 물이구나!'라고 하 셨는데, 물에서 무엇을 취한 것인가요?)
☞ '水(술어) + 哉'의 구조로서 '哉'가 감탄의 어기를 나타낸다.
7) 與
문장 끝에서 순수한 의문을 나타내며 의문사와 결합하면 의문의 어기가 더 강해진다.
7-1) 의문문의 경우
今曰性善, 然則彼皆非與?
(지금 본성이 선하다고 말씀하시니, 그렇다면 저들은 모두 틀린 것입니까?)
☞ '然則(접속사) + 彼(주어) + 皆(부사어) + 非(술어) + 與'의 구조로서 '與'가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今言王若易然, 則文王不足法與?
(지금 왕 노릇 하는 것이 쉬운 것처럼 말하시는데, 문왕은 본받기에 부족한가요?)
☞ '文王(주어) + 不 + 足(조동사) + 法(술어) + 與'의 구조로서 '與'가 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7-2) 반어문의 경우
문장 가운데 부정부사 '不', '弗'과 결합하거나 부사 '獨', ‘豈’ 등과 결합하여 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將使卑踰尊, 疏踰戚, 可不慎與?
(장차 낮은 자로 하여금 존귀한 자를 넘게 하고, 소원한 자로 하여금 친한 이를 뛰어넘게 하는 것이니, 가히 신중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 '可(조동사) + 不 + 慎(술어) + 與'의 구조로서 '與'가 부정부 사'不'과 결합하여 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然則治天下獨可耕且為與?
(그런즉 천하를 다스리는 일은 오직 밭 갈면서 또 할 수 있겠는가?)
☞ '然則(접속사) + 治天下(주어) + 獨(부사어) + 可(조동사) + 耕且爲(술어) + 與'의 구조로서 '與'가 부사 '獨'과 결합하여 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7-3) 선택문의 경우
上句와 下句에 각각 '與'를 사용하거나 下句의 첫머리에 접속사 '抑'을 사용하여 선택을 유도한다.
仲子所居之室, 伯夷之所築與?抑亦盜跖之所築 與? <下 10>
(진중자가 사는 집은 백이가 지은 것인가? 아니면 도척이 지은 것인가?)
☞ '仲居之室(주어) + 伯夷之所築(술어) + 與, 抑(접속사) + 亦(부사어) +盜之所築(술어) + 與'의 구조로서 '亦'가 上句와 下句 의 끝에서 선택을 유도한다.
8) 已
문장 전체의 해석을 돕거나 사실을 진술하는 어기를 나타낸다.
不受也者, 是亦不屑就已.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것은 역시 나아감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 것이다.)
☞ '是(주어) + 亦(부사어) + 不 + 屑(술어) + 就(목적어) + 已'의 구조로서 '已'가 진술하거나 해석을 돕는 어기를 나타낸다.
미래 사실을 긍정하고 단정하는 어기를 나타내는데, 미래 사실의 변화를 판단하는 어기사 '矣'와 용법이 같다.
苟無恆心, 放辟邪俘, 無不為已.
(만약 떳떳한 마음이 없으면 방탕과 편벽과 사악함과 사치스러움을 하지 않음이 없게 될 것이다.)
☞ '苟(접속사) + 無(술어) + 恆心(목적어), 放辟邪多(목적어) + 無 + 不+ 爲(술어) + 已'의 구조로서 '已'가 미래 사실을 판단하는 어기를 나타낸다.
9) 爾
문장 끝에서 주로 한정의 어기를 나타낸다. 또 어떤 경우에는 어기사 '也'나 '矣'와 같이 단순한 서술형 어기사가 되기도 한다.
有本者如是, 是之取爾.
(근본이 있는 자가 이와 같아서 이것을 취하신 것이다.)
☞ '是(목적어) + 之(조사) + 取(어) + 爾'의 구조이다. 이 경우 '爾'는 한정과 긍정의 의미를 모두 포함하고 있지만 어감상 단정의 어기가 더 강하다.
[출처; 안병국, 맹자 한문 문법의 구조 분석, 2018]
'한문 문법 > 한문 문법 구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어기사 4] 구말어기사의 연용(已矣, 耳矣, 而已, 而已矣, 焉耳矣, 也已矣) (0) | 2023.09.23 |
---|---|
[한문의 어기사 2] 구중어기사(也, 矣) (0) | 2023.09.22 |
[한문의 어기사 1] 구수어기사(夫, 且, 若夫, 今夫, 且夫, 乃若, 惟, 蓋) (0) | 2023.09.22 |
[한문의 허사 - 개사 5] 대상(목적)을 나타내는 개사(于, 與, 於, 以, 由, 在, 比, 爲, 乎) (0) | 2023.09.22 |
[한문의 허사 - 개사 4] 원인(爲, 以, 由)과 방식(以, 用)을 나타내는 개사 (0) | 2023.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