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한문 해석(허사虛詞) 배우기 사전

[한문 해석(허사虛詞) 배우기 30] 僅(근, 겨우, 거의, 대략) / 僅將(근장, 거의) / 謹(근, 삼가, 겨우)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10. 18.
반응형

僅(근)

① 부사 일이 몹시 애를 써서 어렵게 이루어지거나 일정한 기준에 아슬아슬하게 도달함을 나타내며, '겨우'라고 해석한다.

 

絞兎有三窟, 僮得免其死耳. (《戰國策》〈齊策四〉)
교활한 토끼는 굴이 세 개 있어서 겨우 죽음을 피할 수 있다.

 

故楚之土壤士民削弱, 僮以救亡者, 計失於陳軫. (《戰國策》〈秦策二>)

그러므로 초나라의 토양·관리·백성이 쇠약하지는 않았지만 겨우 멸망 만을 피할 수 있었던 것은 진진에게서 계책을 듣지 않았기 때문이다.

 

向使嬰有庸主之材, 僮得中佐, 山東雖亂, 秦之地可全而有, 宗廟之祀未當絶也. (《史記》〈秦始皇本紀〉)
만약 자영이 평범한 군주의 재능을 갖고 있었고 겨우 중등의 보좌를 받[을 수만 있었]더라도, 비록 산동에서 동란이 일어나도 진나라 땅을 보전할 수 있었고, 종묘의 제사는 끊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② 부사 수사 앞에 쓰여 대강의 수치를 나타내며, '거의' '대략'이라고 해석한다.

 

初守睢陽時, 士卒僮萬人, 城中居人戶亦且數萬, 巡因一見問姓名, 後無不識者. (韓愈, <張中丞傳後敍>)
처음에 수양을 지킬 때는 병사가 대략 만 명이었고, 성안에 가구가 또한 몇 만이나 거주했지만, 장순(張巡)은 한 번 보고 성명을 물은 뒤에는 알지 못하는 자가 없었다.

 

江國踰千里, 山城僮百層. (杜甫,〈泊岳陽城下〉)

강(江) 나라는 천리가 넘고, 산성은 [높이가] 거의 백 층이나 된다.

 

僅將(근장)

부사 숫자 앞에 쓰여 일정한 수치에 접근하는 것을 나타내며, '거의'라고 해석한다.

 

近者五六百歲, 遠者僮將千載. (《晉書》<劉頌傳>)
가까운 것은 5, 6백 년이고, 먼 것은 거의 천 년이다.

 

謹(근)

① 부사 상대방에 대한 존경을 나타내며, 해석할 필요는 없다.

 

謹使臣良奉白璧一雙, 再拜獻大王足下, 玉斗一雙, 再拜奉大將軍足下. (《史記》〈項羽本紀〉)
신 장량이 흰 옥 한 쌍을 받들어 대왕께 공손히 바치게 하고, 옥두 한 쌍을 대장군께 공손히 바치게 해 주십시오.

 

② 부사 '(근)'과 통하고, 일이 어렵게 이루어지거나 아슬아슬하게 일정한 기준에 이름을 나타내며, '겨우'라고 해석한다.

 

而吾謹得三人焉. (《尙書》〈大誥〉)
그러나 나는 겨우 세 사람을 얻었다.

 

<출처: 김원중, 한문 해석 사전, 2020]

반응형

댓글